본문 바로가기

협의이혼성립요건

[이혼상담변호사] 가정법원에서 협의이혼을 원할때 기본적인 협의이혼사항 김채영변호사 이혼소송 관련 글 더 보기>> [이혼(가사소송)/간통·가정폭력·사실혼] - [가정폭력이혼/가정폭력처벌] 가정폭력범죄의 처벌에 관련된 특례법들 [이혼(가사소송)/재판상이혼(이혼소송)] - [소송이혼과정/김채영변호사] 재판 이혼 중 소송이혼의 과정 [이혼(가사소송)/재판상이혼(이혼소송)] - [이혼소송/이혼변호사] 재판상이혼의 종류, 소송이혼과 조정이혼 [이혼상담변호사] 가정법원에서 협의이혼을 원할때 기본적인 협의이혼사항 협의이혼을 하실 때에는 가정법원에서 안내를 받은 날부터 다음의 숙려기간이 경과한 후에 이혼의사의 확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 1) 미성년인 자녀(임신 중인 자를 포함)가 있는 경우에는 3개월 2) 성년 도달 전 1개월 후 3개월 이내 사이의 미성년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성년이 .. 더보기
[협의이혼변호사/협의이혼변호사] 협의이혼의 성립요건 [협의이혼변호사/협의이혼변호사] 협의이혼의 성립요건 1. 당사자간의 혼인의사의 합치가 있을것 이혼의사의 의미 이혼신고의 법률상의 중대성에 비추어 협의이혼에 있어서의 이혼의 의사는 법률상의 부부관계를 해소하려는 의사를 말한다고 할 것이므로 일시적이나마 그 법률상의 부부관계를 해소하려는 당사자의 합의하에 협의이혼신고가 된 이상 그 협의 이혼에 다른 목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양자간에 이혼의 의사가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그 협의 이혼은 무효가 아닙니다. 일시적으로 법률상 부부관계를 해제할 의사로써 한 이혼신고나 부부사이에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형식상으로만 협의이혼절차를 밟기로 약정한 경우라도 이혼의사의 합치는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. 혼인의사의 존재시기 이혼의사는 이혼신고시의 작성 시는 물론이고, 그.. 더보기